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Self-Efficacy, Intention to Continue Danc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Chinese Public Square Dance Participants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무용지속 의도 및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76 No. pp.61-82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5.76.61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Self-Efficacy, Intention to Continue Danc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Chinese Public Square Dance
Participants

Tang Wenjie*, Cha Sujung**
*Ph.D candidate, Department of Danc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rofessor, Department of Danc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ang Wenjie 890816tangwenjie@gmail.com
** Correspondence to Cha Sujung sjcha@sm.ac.kr
February 10, 2025 February 24, 2025 March 25, 2025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self-efficacy, intention to continue danc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Chinese public square dance participant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Chinese public square dance participants, and SPSS 23.0 was used to analyze 334 people in total.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physical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dance. Second, physical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continue da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the Chinese public square dance participant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romotes the intention to continue dance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psychological happiness. Therefore, we suggest an approach considering these factors is needed in in the future when designing a program to improve the happiness of Chinese leisure dance participants.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무용지속 의도 및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

당문결*, 차수정**
*숙명여자대학교 무용과 박사수료
**숙명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

초록


본 연구는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무용지속의도 및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 광장무용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을 활용하여 총 334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무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지속의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무용지속의도를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개인의 행복감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 서 향후 중국 레저댄스 참가자의 행복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에 있어서 이러한 요소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Ⅰ. 서 론

    최근 중국의 급속한 경제 및 문화 발전과 함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중장년층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광장무용은 중장년층 사이에서 신체와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며, 주요한 건강증진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하청 2024, 203).

    중국 광장무용은 대규모의 공공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단체 무용 활동으로, 지역 주민들 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신체와 심리적 건강을 촉진하고 중장년층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 는 보편적 여가 활동으로 사랑받고 있다(왕보숭, 김영화 2024, 353;하청 2024, 206). 광장 무용은 건강 증진을 주요 목적으로 다양한 스타일과 형식을 포함하며 오락성과 공연성을 융합하여 집단 무용 형태로 진행된다(Heyang, Lei, Ma 2024, 2). 광장이나 공원 같은 열린 공간에서 신나고 리듬감 있는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형태로서 참여자들은 비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다(주도경 2022, 234).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효능을 모두 갖춘 대중적인 운동 형태의 광장무용은 신체적 자 기효능감을 높이며 지속적인 무용활동을 통하여 대인관계 개선 뿐 아니라 행복감 증진에 도 기여할 수 있는 이상적인 여가활동 형태이다(Liu, Du, Fan, Wang 2024, 2). 이러한 다각적 관점에서 광장무용은 중국 사회에서 중요한 건강증진활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인의 생활과 업무 리듬이 빨라짐에 따라 사회적 경쟁이 가속화되고 심리적 압박이 커지면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즉 중국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하 여 심리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여가형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신체적 활동에 대한 자신감과 능력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신체와 관련된 개인의 인지된 능력을 나타낸다(김알찬, 윤원정, 송진섭 2021, 210). 신체적 자기효 능감은 신체적 자신감과 지각된 신체능력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신체 활동과 관련된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커진다. 이는 신체 활동 참여도 와 밀접하게 관련되며, 신체적 능력이 높은 사람들이 더 긍정적으로 활동에 참여한다는 연구가 이를 뒷받침 해준다(이강우, 이한경, 이용주, 이향범 2014, 128). Bandura의 자기효 능감 이론에 따르면 행동 변화는 단순히 외적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1977, 35).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신체 활동에 대한 긍정 적인 태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중장년층의 광장무용 참여와 같은 신체 활동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긍정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자신감이 생기고, 이는 무용지속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광장무용이 신체 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무용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무용지속의도란 직접 연습에 참가하고, 규칙적으로 행하는 활동정도와 무용에 대한 지 속, 애착을 의미한다(유정숙 2009, 207). 무용지속 관련 연구에서는 슬럼프, 자신감, 통제 력, 신체적 자기개념, 사회적 지지 등의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과 관련하여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과의 연구가 진행되어왔다(이진주, 차수정 2018, 281;신다감 2024, 65).

    선행연구에 따르면 무용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크게 외적 요인과 내적 요인 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외적 요인은 무용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으로서 무용을 수행할 장소가 있는지, 무용을 지속할 수 있는 경제적 지원이 존재하는 지 등이 이에 해당된다. 내적인 요인은 무용참여에 있어 스스로에게 느끼는 정서적 감정으로, 무용에 적합한 신체 및 기술, 무용에 대한 만족감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열 정적으로 무용에 임하게 되거나 부정적인 판단으로 인해 무용지속의도가 약해지는 과정 모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무용지속의도의 하위요인인 경향성 요인이란, 즐거움, 꾸준한 태도, 신념, 자기 동기 등 무용을 계속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가치가 있는 일인가에 대한 의미에 해당된다(김민지, 박인자 2018, 34). 계획이나 보고, 자기 평가, 수행기술 등 본인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은 가능성 요인으로 무용지속을 위한 준비부터 행동, 지속 등에 영향을 미친다(김희진, 최은혜 2018, 92). 강화성 요인이란, 무용을 계속 지속할 수 있도록 힘이나 용기를 주는 요소들로 무용 참여지속을 도와주는 친구, 가족, 전문가들의 조언 등이 포함 된다(이진주, 차수정 2018, 281). 무용을 지속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은 단순 한 신체 활동을 넘어 심리적, 정서적 만족감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이러한 무용지속의도 의 하위요인들은 개인의 삶에서 무용이 가지는 가치와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이며, 궁극적으로 개인의 행복감 형성과도 연결된다.

    Veenhoven(1991)은 행복을 “전반적 개인 삶의 질에 대해 우호적으로 평가하는 개인 판 단의 정도”로 정의하였고(2), 이영일(2015)은 자아실현, 즐거움, 자신감과 몰입으로 심리적 행복감의 개념을 구분한 바 있다. 행복은 전반적인 자신의 삶에 대한 인지적 평가로서 개 인적 삶의 질의 인지적, 의식적 판단 결과가 긍정적일 때 만족하게 된다(Veenhoven 1991, 3). 이러한 판단은 정서에 의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나 정서 그 자체와는 구별되는 것 이다(권석만 2008, 6).

    광장무용은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유산소운동을 기본으로 하므로 체력 강화, 질병 예방, 수면 개선 등 다양한 신체적 혜택과 함께 경제적 비용이 적고, 사회적 상호작용 이 활발하여 정신적 행복감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광장무용 참여가 행복 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은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의의를 갖는다.

    기존의 광장무용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중국 근대사 흐름에 따른 광장무용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요가람, 윤미라 2017), 중국 광장무용문화의 특징과 가치 고찰(최 세윤 2018), 중국 광장무와 미디어의 관계를 통한 고찰(김현정 2016) 등 주로 중국 근대사 흐름에 따른 광장무용의 변화, 문화적 가치, 미디어와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광 장무용이 단순한 운동을 넘어, 중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반영하는 중요한 사회적, 문화 적 현상임을 보여준다. 실증연구의 경우에는 윤닝닝, 김지숙(2023)의 광장무용에 참여하는 중국 노인들의 여가만족과 여가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구조적 관계 탐색과 왕보숭, 김영화 (2024)의 중국 중노년 여성의 광장무 지속성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광장무에 참여 한 중국 중 · 노년의 참여동기가 여가몰입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으나 광장무 용참여자의 숫자나 범위에 비하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광장무용이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삶의 질 향상과 정신 건강 증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무용지속 의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광장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광장무용에 대한 학문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무용지속의도 및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련성 및 영향력을 규명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무용지속의도 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무용지속의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는 광장무용을 통한 신체적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및 심리적 행복감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여가무용 현장에서의 참여자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선정한 광장무용은 중국에서, 특히 광장에서 자주 행해지는 대중적인 춤으 로, 노인과 중장년층이 주요 참여층을 이루고 있다. 주로 민속 무용, 전통적인 춤, 그리고 현대적인 율동을 혼합한 형태로, 무용의 목적은 신체 활동과 사회적 교류를 촉진하고, 정 신적 건강과 사회적 연결을 강화하는 데 있다(단효설, 김경회 2024, 565). 주로 아침, 저녁 시간대에 이루어져, 지역 사회의 일상적인 문화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허난성 정저우의 7개 지역에서 광장무용참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하 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해당 지역들은 지리적 다양성과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선정되었다. 정저우는 허난성의 수도로,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여러 지역을 포함함으로써 광장무용의 다양한 형태와 참여자들의 특성을 보다 정 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선정된 7개 지역은 도시 중심지, 근교 지역, 농촌 지역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광장무용참여자들의 사회적·경제적 배경이 다양하게 구성되도록 하였다. 설문조 사 대상자는 총 334명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변수 구분 빈도 %
    성별 여성 296 88.6
    남성 38 11.4
    연령 19-29세 23 6.8
    29-39세 29 8.6
    39-49세 79 23.7
    49-59세 128 38.4
    60세 이상 75 22.5
    월 평균 소득 3000위안 미만 53 15.8
    3000-7000위안 미만 165 49.4
    7000-15000위안 미만 68 20.4
    15000-20000위안 미만 31 9.3
    20000위안 이상 17 5.1
    합계 334 100.0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기법을 적용하였다. 우선, 각 변수들의 분포와 기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을 진행했으며, 내적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Cronbach’s α 기반의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 였다.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주요 변수들이 서 로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2. 측정도구

    1) 신체적 자기효능감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개인이 자신의 신체적 능력에 대해 갖는 자신감과 신체 활동 수행에 대한 자기 확신으로 정의한다. 신체적 자기효능감 조사도구는 Ryckman (1982)이 제작하고 홍선옥, 표내숙(1996)이 번안한 도구로 송은영, 전순영(2022)의 연구에 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으로는 인지된 신체 자신감 5문항, 외모 타인 인식 3문항, 체력 만족 3문항으로 총 1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2) 무용지속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무용 지속 척도는 Corbin & Lindsey(1994)가 개발한 운동 지속 수 행 검사지(Exercise Adherence Questionnaire: EAQ)를 정명훈, 최은정(2021)의 연구에서 무용 맥락에 맞게 수정한 설문지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추가적으로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경향성 4문항, 가능성 3문항, 강화성 8문항 등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3) 심리적 행복감

    심리적 행복감은 양명환(1998), 이영일(2016)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모두 “전혀 아니다” 1점부터 “매우 그렇 다“ 5점까지 Likert 5단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은 <표 3>, <표 4>, <표 5>와 같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각 설문지의 누적분산율은 각 78.627%, 74.174%, 75.697%이며, 신뢰도는 Cronbach’s α값 .799 이상을 나타내 타당하 고 신뢰할 만한 설문지로 판정되었다.

    Ⅲ.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분석

    각 변수들이 정규분포조건을 충족되지 않을 경우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고 김주 환, 김민규, 홍세희(2009)가 지적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적용된 측정 변수들이 정규 분포 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 변수들의 기술적 통 계는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표 2

    기술통계 분석결과(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sults)

    변수 M S.D. 첨도 왜도
    신체적 자기 효능감 인지된 신체 자신감 3.968 .927 -1.080 1.405
    외모 타인 인식 3.984 .823 -.904 .033
    체력 만족 3.808 .686 -.867 -.027
    무용지속 의도 경향성 3.748 .857 -.485 1.275
    가능성 3.762 .889 -1.049 1.053
    강화성 3.583 1.024 -.974 .798
    심리적 행복감 자아실현 3.958 .957 -.875 .648
    자신감 3.812 .752 -1.835 1.917
    즐거움 3.856 .738 -.770 -.102
    몰입 3.907 .582 -1.045 1.394

    2.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 다.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요인분석 결과, 고유값은 요인 1(인지된 신체 자신감) 3.795, 요인 2(외모 타인 인식) 2.589, 요인 3(체력 만족) 2.254로 나타났으며, 누적분산율 은 78.53%로 확인되었다. 이는 각 요인이 전체 분산의 상당 부분을 설명하고 있음을 시사 한다. 또한 모든 항목의 요인 적재값이 .5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항목들이 각 요인을 적절 히 설명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Cronbach’s α 값은 요인 1(인지된 신체 자신감) .885, 요인 2(외모 타인 인식) .906, 요인 3(체력 만족) .846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이 .80 이상의 신뢰도를 나타냈다. 이는 각 요인이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함을 보여준다.

    표 3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 결과 (The result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문항 인지된 신체 자신감 외모 타인 인식 체력 만족
    신체적 자기효능감5 .916 .088 .135
    신체적 자기효능감4 .872 .098 .099
    신체적 자기효능감3 .835 .162 .145
    신체적 자기효능감1 .826 .089 .239
    신체적 자기효능감2 .796 -.077 .138
    신체적 자기효능감8 .012 .890 .238
    신체적 자기효능감7 .082 .889 .205
    신체적 자기효능감6 .120 .868 .091
    신체적 자기효능감9 .173 .088 .895
    신체적 자기효능감11 .140 .224 .844
    신체적 자기효능감10 .333 .371 .713
    고유값 3.795 2.589 2.254
    분산(%) 34.497 23.538 20.492
    누적(%) 34.497 58.035 78.527
    Cronbach’s α .885 .906 .846

    본 연구에서는 무용지속에 대한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4>에서 고유값은 요인 1(강화성) 5.617, 요인 2(경향성) 3.040, 요인 3(가능성) 2.469로 나타났으 며, 누적 분산율 74.17%로 확인되었다. 이는 각 요인이 전체 분산의 높은 비율을 설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모든 항목의 요인 적재값이 .5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항목들이 각 요인을 적절히 설명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표 4

    무용지속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 결과(Result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tention to continue dance)

    문항 강화성 경향성 가능성
    무용지속1 .877 .185 .157
    무용지속3 .856 .109 .017
    무용지속2 .833 .175 .175
    무용지속4 .811 .127 .305
    무용지속5 .803 .174 .135
    무용지속6 .801 .088 .307
    무용지속7 .797 .111 .203
    무용지속8 .743 .126 .292
    무용지속9 .193 .861 .016
    무용지속10 .167 .858 .228
    무용지속15 .119 .836 .053
    무용지속13 .122 .811 .134
    무용지속14 .181 .097 .842
    무용지속12 .328 .111 .829
    무용지속11 .237 .157 .782
    고유값 5.617 3.04 2.469
    분산(%) 37.449 20.264 16.461
    누적(%) 37.449 57.713 74.174
    Cronbach’s α .869 .853 .902

    Cronbach’s α 값은 요인 1(강화성) .869, 요인 2(경향성) .853, 요인 3(가능성) .902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이 .80 이상의 신뢰도를 나타냈다. 이는 각 요인이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5>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요인분석 결과, 고유값은 요인1(자아실현) 3.301, 요인2(자신감) 3.033, 요인3(즐거움) 2.914, 요인4(몰입) 2.863으로 나타났으며, 누적분산율은 75.70%로 확인되었다. 이는 각 요인이 전체 분산의 높은 비율을 설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모든 항목의 요인 적재값이 .5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항목들이 각 요인을 적절히 설명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표 5

    심리적 행복감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 결과 (Result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sychological happiness)

    문항 자아실현 자신감 즐거움 몰입
    심리적 행복감3 .905 .101 .140 .191
    심리적 행복감2 .881 .146 .107 .116
    심리적 행복감4 .866 .139 .083 .125
    심리적 행복감1 .817 .132 .280 .060
    심리적 행복감5 .104 .817 .062 .191
    심리적 행복감7 .097 .812 .195 .346
    심리적 행복감6 .202 .801 .285 .253
    심리적 행복감8 .181 .798 .104 .275
    심리적 행복감11 .061 .101 .858 .180
    심리적 행복감12 .126 .209 .780 .233
    심리적 행복감10 .161 .171 .769 .125
    심리적 행복감9 .235 .064 .754 .173
    심리적 행복감16 .202 .237 .224 .830
    심리적 행복감14 .208 .236 .197 .786
    심리적 행복감15 .062 .260 .145 .762
    심리적 행복감13 .077 .308 .224 .691
    고유값 3.301 3.033 2.914 2.863
    분산(%) 20.630 18.958 18.215 17.894
    누적(%) 20.630 39.588 57.803 75.697
    Cronbach’s α .809 .799 .853 .831

    Cronbach’s α 값은 요인1(자아실현) .809, 요인2(자신감) .799, 요인3(즐거움) .853, 요 인4(몰입) .831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이 .80 이상의 신뢰도를 나타냈다. 이는 각 요인이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함을 보여준다.

    3. 상관관계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 무용지속의도, 심리적 행복감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표 6>과 같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각의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각 요인의 상관관계는 모두 .635 이하를 나타내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영향력 확인을 위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표 6

    상관관계 분석결과(Correlation analysis results)

    인지된 신체 자신감 외모 타인 인식 체력 만족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 자아 실현 자신감 즐거움 몰입
    1. 인지된 신체 자신감 1
    2. 외모 타인 인식 .432** 1
    3. 체력 만족 .267** .303** 1
    4. 경향성 .237* .363** .258** 1
    5. 가능성 .348** .554** .487** .396** 1
    6. 강화성 .379** .556** .635** .558** .311** 1
    7. 자아실현 .232** .427** .261** .457** .452** .420** 1
    8. 자신감 .465** .557** .468** .409** .587** .349** .499** 1
    9. 즐거움 .399** .406** .439** .358** .457** .349** .441** .448** 1
    10. 몰입 .272** .406** .268** .533** .409** .468** .312** .379** .456** 1

    * p<.05 ** p<.01

    4.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들이 무용 지속 의도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 각각에 대해 회귀모형이 적합하였고, 무용 지속 의도에 대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설명력은 각각 35.1%, 31.9%, 40.0%로 나타났다.

    표 7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physical self-efficacy on intention to continue dance)

    신체적 자기효능감무용지속의도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
    B β t B β t B β t
    (상수) 3.668 - 6.712*** 3.614 - 6.401*** 3.119 - 5.751***
    인지된 신체 자신감 .251 .229 3.488** .306 .242 5.773*** .213 .197 2.731**
    외모 타인 인식 .331 .320 2.909** .379 .340 6.891*** .196 .216 2.687**
    체력 만족 .273 .241 2.767** .352 .262 6.285*** .226 .278 3.281**
    F=39.124***, R2=.351 F=31.901***, R2=.319   F=59.379***, R2=.400

    * p<.05, ** p<.01, ***p<.001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외모 타인 인식(β =.320, p<.001)이 무용 지속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 활동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함 하는 활동인 만큼, 참여자들이 타인의 시선을 얼마나 의식하는지가 무용 지속 의도에 중요 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참여자들은 자신의 외모와 관련된 타인의 인식을 중 요하게 여기며, 이는 무용을 지속할 의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지된 신체 자신감(β=.229, p<.01), 체력 만족(β=.241, p<.01) 역시 경향성에 유 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개인이 자신의 신체적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수록 무용 활동을 지속할 경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체력 만족(β= .262, p<.001)과 외모 타인 인식(β=.340, p<.001)은 가능성에, 체력 만족(β= .278, p<.01), 인지된 신체 자신감(β =.197, p<.01) 및 외모 타인 인식(β=.216, p<.01)은 강화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들이 무용 지속 의도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인 경향 성, 가능성, 강화성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외모 타인 인식 이 무용 지속 의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무용 활동 참여자의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지속적인 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프로그램 설계 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5.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8>에서 회귀모형을 검증한 결과,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실 현, 자신감, 즐거움, 몰입에 각각 F=37.802(p<.001), F=43.752(p<.001), F=49.595(p<.001), F=59.379(p<.001)로 회귀모형이 적합했으며,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설명력은 28.2%, 30.0%, 30.2%, 40.1%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인지된 신체 자신감(β=.114, p<.05), 외모 타인 인식(β=.257, p<.001), 체력 만족(β=.177, p<.01)은 자아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된 신체 자신감(β=.136, p<.01), 외모 타인 인식(β =.165, p<.01), 체력 만족(β=.161, p<.01)은 자신감에, 인지된 신체 자신감(β=.188, p<.001), 외모 타인 인식(β=.209, p<.001), 체력 만족(β=.156, p<.01)은 즐거움에, 인지된 신체 자신감 (β=.208, p<.001), 외모 타인 인식(β=.148, p<.01), 체력 만족(β=.177, p<.01)은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happiness)

    무용 지속의도심리적 행복감 자아실현 자신감 즐거움 몰입
    B β t B β t B β t B β t
    (상수) 2.516 - 5.860*** 2.623 - 6.145*** 2.378 - 4.872*** 2.241 - 4.957***
    인지된 신체 자신감 .122 .114 2.327* .144 .136 2.699** .184 .188 3.899*** .223 .208 4.355***
    외모 타인 인식 .250 .257 4.786*** .145 .165 3.357** .219 .209 3.824*** .188 .148 3.015**
    체력 만족 .162 .177 3.281** .151 .161 2.991** .156 .152 2.876** .201 .177 3.397**
    F=37.802***, R2=.282 F=43.752***, R2=.300 F=49.595***, R2=.302 F=59.379***, R2=.401

    * p<.05, ** p<.01, ***p<.001

    인지된 신체 자신감(β=.114-.208, p<.05-.001)은 심리적 행복감의 모든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신체 자신감이 개인의 심리적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신체적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수록, 이는 자아실현과 자신감, 즐거움, 몰입의 경험을 더 잘 촉진할 수 있다. 신체적 자신감은 자아의 일부분으로 인식되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더욱 강화시켜준다. 이는 결국 심리적 행복감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외모 타인 인식(β=.257-.209, p<.001-.01)은 특히 자아실현, 즐거움, 몰입에 중요한 영 향을 미쳤다. 이는 사람들이 자신의 외모가 타인에게 어떻게 비춰지는지에 대해 의식하고, 이러한 외모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심리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 미한다. 특히 외모가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작용하는 문화적 환경에서는, 타인에 대한 인 식이 개인의 자아실현과 즐거움에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외모 타인 인식은 타인 과의 상호작용에서 오는 즐거움과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력 만족(β=.161-.177, p<.01-.001)은 심리적 행복감의 전반적인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체력에 대해 만족감을 느낄수록 신체적, 정 신적 건강이 개선되고, 결과적으로 심리적 행복감도 증대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체력 만족 은 자아실현을 이루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자신감을 증진시키며, 즐거움과 몰입 경험을 강화시킨다. 또한, 체력적인 만족감은 신체적 활동을 통해 더 많은 긍정적인 경험을 쌓게 하고, 이는 다시 심리적 행복감을 증대시키는 경로로 작용할 수 있다.

    6. 중국 광장무용참여자의 무용지속의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행복감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표 9>에서 회귀모형을 검증한 결과,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실현, 자신감, 즐거움, 몰입에 각각 F=49.722(p<.001), F=32.384(p<.001), F=39.121(p<.001), F=29.121(p<.001)로 회귀모형이 적합했으며,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무용지속의도의 설명력 은 59.9%, 45.2%, 50.3%, 43.5%로 나타났다. 무용지속의도의 하위요인 중 경향성(β=.184, p<.05), 가능성(β=.289, p<.01), 강화성(β=.336, p<.01)은 자아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 며, 경향성(β=.261, p<.01), 가능성(β=.204, p<.05)은 자신감에, 가능성(β=.395, p<.001)은 즐거움에, 가능성(β=.323, p<.01), 강화성(β=.341, p<.05)은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9

    무용지속의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e on psychological happiness)

    무용 지속의도심리적 행복감 자아실현 자신감 즐거움 몰입
    B β t B β t B β t B β t
    (상수) 4.754 - 4.962*** 1.919 - 2.499* 2.102 - 3.209** 1.513 - 4.827***
    경향성 .331 .184 2.564* .321 .261 3.105** .109 .145 1.673 .152 .182 1.414
    가능성 .386 .289 3.691** .186 .204 2.220* .496 .395 10.550*** .267 .323 3.008**
    강화성 .426 .336 4.572** .127 .147 1.701 .085 .125 2.156* .241 .341 2.241*
    F=49.722***, R2=.599 F=32.384***, R2=.452  F=39.121***, R2=.503  F=29.121***, R2=.435

    * p<.05, ** p<.01, ***p<.001

    경향성(β=.184, p<.05), 가능성(β=.289, p<.01), 강화성(β=.336, p<.01)이 자아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은, 무용을 지속하려는 동기가 강할수록 개인의 성장과 자기 실현 욕구가 충족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무용은 단순한 취미를 넘어 신체적, 정신적 역 량을 끊임없이 향상시키는 과정이 포함되므로,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발 전을 경험하면서 자아실현을 더욱 강하게 느낄 가능성이 크다.

    경향성(β=.261, p<.01), 가능성(β=.204, p<.05)이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 것은, 무용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점차 자신의 신체적 능력과 표현력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무용은 신체를 활용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적 활동이므로, 반복적인 연습과 성취 경험이 자신감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가능성(β=.395, p<.001)이 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은, 무용을 통해 얻는 만족 감과 기쁨이 지속 의도와 강한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무용은 음악과 움직임이 결합된 활동으로 내재적 즐거움을 제공하며, 이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일 수록 무용을 통해 더욱 큰 행복감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가능성(β=.323, p<.01), 강화성(β=.341, p<.05)이 몰입에 영향을 미친 것은, 무용 참여 가 일정 수준 이상 지속될 때 몰입 경험이 더욱 강화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무용은 기술적 숙련도를 요구하는 활동이며, 이를 반복적으로 연습하고 익히는 과정에서 참가자들 은 몰입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강화성이 몰입에 영향을 미친 것은, 무용을 통해 얻는 성취감과 긍정적 보상이 개인의 몰입 수준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 지속 의도가 단순한 신체적 활동 지속을 넘어 심리적 행복감 향상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즉, 무용을 지속적으로 참여하려는 경향과 가능성이 높을수 록, 그리고 무용을 통해 얻는 강화 경험이 많을수록 개인의 심리적 행복감이 증대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무용 교육 및 프로그램에서 지속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개인의 행복 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신체적 자기효능감, 무용 지속 의도,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자기효 능감은 무용 지속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인지된 신체 자신감, 외모에 대한 타인의 인식, 체력 만족감은 무용 지속 의도 의 하위 요인인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신체적 자기 효능감은 심리적 행복감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은 행복감의 하위 요인인 자아실현, 자신감, 즐거움, 몰입 각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 째, 무용 지속 의도 역시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특히, 무용 지속 의도의 하위 요인인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은 행복감의 하위 요인에 따라 상이한 영 향을 미쳤으며, 이는 지속적인 무용 참여가 개인의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경로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다음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무용 지속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운 동이나 무용과 같은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데 중요한 동기 부여 요소라는 것을 나타 낸다. 이러한 결과는 Bandura(1997)의 연구에서 제시된 자기효능감이 개인의 행동 지속성 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Wang et al.(2023)의 자기효능감이 지속적인 참여와 동기 부 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 최근 연구와도 관련이 있다. 또한, 김민지, 박인자 (2018)는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도 높은 자기효능감을 소유한 개인은 긍정적 사고 및 태도로 모든 일에 적극적으로 임하며 지속적인 행동을 유지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윤 서진, 장태석(2020)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이 무용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을 확인한 바 있으며 즉 긍정적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운동 중단을 방지하고 꾸준한 무용 참여를 유도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Liu & Zhang(2021)노동연, 함지선, 김태일(2014)의 연구에서 제시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개 인의 지속적 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그로 인해 긍정적인 정서적 결과를 가져오는 경로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신체활동과 자신감에 관련된 인간 행동 예측의 중요한 개념(신지민 2019)이며 높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높은 행복감을 인지한다 는 김태연, 오재근(2020)의 연구와도 일치되는 부분이 있다.

    무용지속의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결과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무용지속의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개인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Ryan & Deci (2020)의 연구에서 제시된 자기효능감과 웰빙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결과로, 자기효능감이 개인의 정서적, 사회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쳐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무용지 속의도가 개인의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영향력 있는 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 다. 이는 무용을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얻는 심리적 혜택이 개인의 웰빙, 즉 심리적 행 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Chen et al. (2024)의 연구에서도 지속적 인 신체 활동이 긍정적인 심리적 결과와 연결된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 다. 따라서 무용을 포함한 신체 활동을 지속적으로 장려하기 위하여 참가자들에게 그 활동 의 심리적 이점에 대해 인식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 계획 또한 지도자들이 주의를 기울여 적정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행으로 이어져 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무용 지속 의도가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는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무용 지속 의도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Jackson et al.(2022)의 몰입 이론에 따르면, 무용이나 운동 활동에서의 몰입 경험은 개인의 행복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은 참가 자들이 몰입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한편, 왕건룡과 김지숙(2023)은 태극권 수련에서의 몰입 경험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주관 적 행복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태극권 수련 중 몰입 상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인지된 신체 능력과 신체적 자기표 현 자신감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주관적 행복감 증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몰입 경험은 인지 몰입과 행위 몰입의 두 차원으 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는데, 인지 몰입은 신체적 능력과 자기표현 자신감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행위 몰입은 성격 요인, 활동 참여, 주변 환경과 같은 외적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극권이 단순한 신체 활동을 넘어 심리적 안정과 내적 성 장의 수단으로 기능하며, 몰입 경험의 질적 차원이 행복감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비록 광장무용과 태극권은 서로 다른 무용 활동이지만, 두 활동 모두 신체적 자기효능감 과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무 용 지속 의도가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는 광장무용과 같은 지역 기반 체육 활동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정책적 제안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방정부나 민간 기업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 회 기반의 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가자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지원 시 스템을 구축하거나 참여자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광장무용의 활성화는 여가 무용을 즐기는 사람들의 건강과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종단 연구(longitudinal study) 를 통해 무용 지속 의도와 행복감의 변화 양상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들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운동이나 무용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루었 지만, 본 연구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무용 지속 의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 석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즉,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무용을 지속하려는 의도와 이 를 통해 얻는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탐구한 것이 본 연구의 특징이다. 또한, 행복감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확장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기존 연구들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다뤘다면, 본 연구는 무용 지속 의도를 매개로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연결했다는 점 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화된다.

    다만,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진다. 우선,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 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 성별,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무용 지속 의도,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는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한 연구 설계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연령대별로 신체적 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 연령대에 맞는 운동 강도와 목표를 설정하는 등 실제 현장과 연결된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저자소개

    당문결은 숙명여자대학교 무용학과 박사를 수료하고 중국 하남성 검사 대학에서 강사로 일하고 있다.

    Tang Wenjie Dang Mun-gyeol has completed a Ph.D. course in the Department of Dance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is working as an instructor at Henan Prosecutor's University in China.

    차수정은 숙명여자대학교 무용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무용과에서 교수로 재직중이며 숙대 창의융합연구소 운영위원, 무용역사기록학회 회장과 대한무용학회, 한국춤협회 부회장이다.

    Cha Sujung received her Ph.D. in dance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ance department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he is also a commitee member of the Sookmyung RICO(Research Institute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president of SDDH(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History), and vice president of KSD(The Korean Society of Dance) and KDA(Korean Dance Association).

    Figure

    Table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기술통계 분석결과(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sults)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 결과 (The result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무용지속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 결과(Result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tention to continue dance)

    심리적 행복감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 결과 (Result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sychological happiness)

    상관관계 분석결과(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p<.05 <sup>**</sup> p<.01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physical self-efficacy on intention to continue dance)

    <sup>*</sup> p<.05, <sup>**</sup> p<.01, <sup>***</sup>p<.001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happiness)

    <sup>*</sup> p<.05, <sup>**</sup> p<.01, <sup>***</sup>p<.001

    무용지속의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e on psychological happiness)

    <sup>*</sup> p<.05, <sup>**</sup> p<.01, <sup>***</sup>p<.001

    Reference

    1. 고주혜, 김승재 Ko, Juhye [Go, Juhye], and Kim Seungjae [Gim Seungjae]. 2006.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지각이 신체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Muyong jeon-gong daehaksaeng-deului sinchejeok jagijigak-i sinche mit jagi jonjunggam-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Physical Self- Perception to Body-Esteem and Self-Esteem of College Dancers]. 「한국체육학회지 Han-guk cheyuk hakhoeji」[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5): 199-210.
    2. 권석만 Kwon, Seokman [Gwon, Seokman]. 2008. “왜 긍정의 힘에 관심을 가져야하는가? Wae geungjeong-ui him-e gwansimeul gajyeoya haneun-ga?” [Why Should We Pay Attention to the Power of Positivity?].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대회지 Han-guk ingan baldal hakhoe haksul daehoiji」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4): 1-13.
    3. 김계숙 Kim, Gyesook [Gim Gyesuk]. 2000. “전공무용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Jeon-gong muyong-i sinchejeok jagi hyoneunggam-gwa jaa jonjunggam-e michineun yeonghyang” [A Study of Dance Major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대한무용학회지 Daehan muyong hakhoeji」 [Dance Research Journal of Korea] 28: 97-110.
    4. 김민지, 박인자 Kim, Minji [Gim, Minji], and Park Inja [Bak Inja]. 2018. “교양무용 참여 여대생의 자기효능감이 무용 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Gyoyang muyong chamyeo yeodaesaeng-ui jagi hyoneunggam-I muyong manjok-gwa jisok uido-e michineun yeonghyang”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Danc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Dance Class]. 「한국무용연구 Han-guk muyong yeon-gu」 [The Korean Journal of Dance] 36(1): 31-51.
    5. 김알찬, 윤원정, 송진섭 Kim, Alchan [Gim, Alchan], Yoon Wonjeong [Yun Wonjeong], and Song Jinseop. 2021. “태권도 수련을 통한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 관계분석 Taekwondo suryeon-eul tonghan jaajonjunggam, sinchejeok jagi hyoneunggam-gwa undong jisok gwangye bunseok” [Analysis of Self-Respect, Physical Self-Efficacy, and Continuation of Exercise through Taekwondo Training]. 「한국스포츠학회지 Han-guk seupocheu hakhoeji」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9(1): 207-220.
    6.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Kim, Juhwan [Gim, Juhwan], Kim Mingyu [Gim Min-gyu] and Hong Sehee [Hong Sehui].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Gujo bangjeongsik mohyeong-euro nonmun sseugi」 [Writing Academic Pape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Seoul, Keomyunikeisyeonbukseu].
    7. 김태연, 오재근 Kim, Taeyeon [Gim, Taeyeon], and Oh Jaegeun. 2020. “일반 성인 여성의 발레 수업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Ilban seong-in yeoseong-ui balle sueop chamyeo-ga sinchejeok jagi hyoneunggam-gwa simnijeok haengbokgam-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s of General Adult Women's Physical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n Ballet Class]. 『한국스포츠학회지 Han-guk seupocheu hakhoeji』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8(3): 439-449.
    8. 김현정 Kim, Hyeonjeong [Gim, Hyeonjeong]. 2016. “일상생활 분석에서 미디어의 연구 대상화에 관한 고찰: 중국의 민간 활동과 미디어의 관계를 통해 Ilsang saenghwal bunseok-eseo midieo-ui yeon-gu daesanghwa-e gwanhan gochal: Jungguk-ui mingan hwaldong-gwa midieo-ui gwangye-reul tonghae” [A Study on the Objectification of Media in Everyday Life Analysis through Chinese Folk Activit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Media]. 「일상과 문화」[Everyday life and culture] 3: 227-239.
    9. 김희진, 최은혜 Kim, Heejin [Gim, Huijin], and Choi Eunhye [Choe, Eunhye. 2018. “대학 무용수들의 무용몰입이 무용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 Daehak muyongsu-deului muyong molip-i muyong jisok uido-e michineun yeonghyang” [The Influence of Dance Absorption on Intention to Continue Dance of College Dance Majoring Students]. 「한국스포츠학회 Han-guk seupocheu hakhoe」 [Korea Sport Society] 16(3): 657-665.
    10. 노동연, 함지선, 김태일 No, Dongyeon, Ham Jiseon, and Kim Taeil [Gim Taeil]. 2014.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Hakgyo seupocheu keulleop chamyeo haksaeng-ui sinchejeok jagi hyoneunggam-i jaa tanllyeokseong-gwa simnijeok annyeonggam-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Physical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한국사회체육학회지 Han-guk sahoe cheyuk hakhoeji」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6(1): 83-94.
    11. 단효설, 김경회 Duan, Xiaoxue, Kim Kyunghue. 2024. “민족민간무용 공연을 통한 표현정서와 무용능력성취 간의 영향 관계 연구 Minjok min-gan muyong gong-yeoneul tonghan pyohyeon jeongseo wa muyong neungryeok ganui yeonghyang gwan-gye” [The Effect of Physical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문화와융합 Munhwa wa yonghap」 [Culture and Convergence] 46(3): 557-567.
    12. 서준이, 원영신 Seo, Juni, and Won Youngsin [Won Yeongsin]. 2019. “광장무를 참여한 중국 중·노년의 참여동기가 여가몰입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Gwangjangmu-reul chamyeohan Jungguk jungnyeon-ui chamyeo donggi-ga yeoga molip-gwa yeoga manjok-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isure Flow and Leisur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Take Part in Public Square Dancing in China]. 「한국체육과학회지 Han-guk cheyuk gwahak hakhoeji」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8(2): 71-84.
    13. 송은영, 전순영 Song, Eunyeong, and Jeon Sunyeong. 2022.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Jaseojeon mandeulgi-reul hwal-yonghan jipdan misulchiryo-ga yoyang byeongwon ipwon noin-ui haengbokgam-gwa salm-ui jil-e michineun hyogwa” [How Group Art Therapy Using Autobiography Affects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미술치료연구 Misul chiryo yeon-gu」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9(5): 1227-1250.
    14. 신다감 Shin, Dagam [Sin, Dagam]. 2024. “무용전공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과 그릿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분석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seongchwi mokpyo seonghyang-gwa geurit-i geungjeong simni jabon-e michineun yeonghyang bunseok” [The Influence of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Gri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Dance Majors]. 「한국무용과학학회지」「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41(1): 65-77.
    15. 신지민 Shin, Jimin [Sin, Jimin]. 2018. “직장여성의 발레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Jikjang yeoseong-ui balle chamyeo-e ttareun sinchejeok jagi hyoneunggam-i jaa tallyeokseong mit jikmu manjok-e michineun yeonghyang”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Efficacy from Ballet Participation on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숙명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6. 양명환 Yang, Myeonghwan. 1998. “신체활동과 심리적 행복감: 인지적-정서적 상태 측정지 개발 Sinche hwaldong-gwa simnijeok haengbokgam: injijeok-jeongseojeok sangtae cheukjeongji gaebal”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nt of a Cognitive-Affective States Scale]. 「한국스포츠심리 학회지 Han-guk seupocheu simnihak hoeji」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9(2): 113-123.
    17. 왕건룡, 김지숙 Wang, Geonryong, and Kim Jisuk [Gim Jisuk]. 2023. “중국 대학생의 태극권 수련 몰입경험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Jungguk daehaksaeng-ui taegeukgwon suryeon molip gyeongheom-i sinchejeok jagi hyoneunggam mit ju-gwanjeok haengbokgam-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ai Chi Training Immersion Experience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Subjective Happiness]. 「한국스포츠학회 Han-guk seupocheu hakhoe」 [The Korean Journal of Sport] 21(1): 257-268.
    18. 왕보숭, 김영화 Wang, Bosung, and Kim Younghwa [Gim Yeonghwa]. 2024. “중국 중노년 여성의 광장무 지속성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소속감의 매개효과와 정서표현의 조절된 매개효과 Jungguk jung-nonyeon yeoseong-ui gwangjangmu jisokseong-i ju-gwanjeok welbing-e michineun yeonghyang: sosokgam-ui maegye hyogwa-wa jeongseo pyohyeon-ui jojeoldoen maegye hyogwa” [The Effects of Square Dance Persistence on Subjective Well-Being in Chinese Middle-Aged and Older Women: Emotional Expression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Belongingness]. 「한국웰니스학회지 Han-guk welneseu hakhoeji」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19(3): 351-358.
    19. 요가람, 윤미라 Yo, Garam and Yoon Mira [Yun Mira]. 2017. “중국 근대사 흐름에 따른 광장무용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Jungguk geundaesa heureum-e ttareun gwangjang muyong-ui byeonhwa yangsang-e gwanhan yeon-gu” [A Study on the Aspect of Change of Square Dance according to the Flow of Modern Chinese History].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 muyong hakhoe nonmunjip」 [Dance Research Journal of Korea] 75(4): 85-101.
    20. 유정숙 Yoo, Jeongsook [Yu, Jeongsuk]. 2009. “무용계열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자기관리 및 무용성취의 관계 Muyong gyeyeol daehaksaeng-ui sinchejeok jagi gaenyeom-gwa jagigwalli mit muyong seongchwi-ui gwangy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Self-Management, and Dance Achievement of University Dance Majors].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 muyong hakhoe nonmunjip」 [Dance Research Journal of Korea] 60: 205-222.
    21. 윤닝닝, 김지숙 Yoon, Ningning [Yun, Ningning], and Kim Jisuk [Gim Jisuk]. 2023. “광장무에 참여하는 중국 노인들의 여가만족과 여가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구조적 관계 Gwangjangmu-e chamyeo haneun Jungguk noindeului yeoga manjok-gwa yeogamolip mit seonggongjeok nohwa-ui gujojeok gwan-gy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Immersion, and Successful Aging of Chinese Senior Citizens Participating in Square Dance]. 「한국스포츠학회 Han-guk seupocheu hakhoe」 [The Korea Journal of Sport] 21(3): 181-194.
    22. 윤서진, 장태석 Yoon, Seojin [Yun, Seojin], and Jang Taeseok. 2020.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지속성에 미치는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의 영향: 위계적 회귀분석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muyong jisokseong-e michineun sinchejeok jagi hyoneunggam-gwa jaa tallyeokseong-ui yeonghyang: wigyejeok hoegwi bunseok”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on Dance Persistence of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한국무 용학회지 Han-guk muyong hakhoeji」 [Korean Journal of Dance] 20(2): 95-103.
    23. 이강우, 이한경, 이용주, 이향범 Lee, Kangwoo [Yi, Gang-u], Lee Hangyeong [Yi Han-gyeong], Lee Yongju [Yi Yongju], and Lee Hyangbeom [Yi Hyangbeom]. 2014. “대학생의 교양체육수업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Daehaksaeng-ui gyoyang cheyuk su-eop chamyeo donggi-ga sinchejeok jagi hyoneunggam mit jisok uido-e michineun yeonghyang”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to Join Ele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한국체육교육학회지 Han-guk cheyuk gyoyuk hakhoeji」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8(4): 127-137.
    24. 이영일 Lee, Youngil [Yi, Yeong-il]. 2016.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Yeon-gi jeon-gong daehaksaeng-ui sueop chamyeo donggi, yeon-gi pyohyeonseong, simnijeok haengbokgam-ui gwangye”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ng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cting]. 「한국콘텐츠학 회논문지 Han-guk kontencheu hakhoe nonmunji」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167-178.
    25. 이진주, 차수정 Lee, Jinjoo [Yi, Jinju] and Cha Sujeong. 2018.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무용전공대학생 의 무용몰입 및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Muyong jidoja-ui bieoneojeok keomyunikeisyeon-I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muyong molip mit muyong jisok uido-e michineun yeonghyang” [The Influence of Danc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on Dance Commitment and Dance Adherence of Dance Majored Students]. 「한국무용연구 Han-guk muyong yeon-gu」 [The Korean Journal of Dance] 36(2): 267-291.
    26. 정명훈, 최은정 Jung, Myeonghoon [Jeong, Myeonghun], and Choi Eunjung [Choe Eunjeong]. 2021. “여성무용인의 결혼 및 출산, 일과 가정 병행에 대한 인식, 무용지속의도간의 차이 연구-무용학과 대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Yeoseong muyongin-ui gyeolhon mit chulsan, ilgwa gajeong byeonghaeng-e daehan insik, muyong jisok uido gan-ui chai yeon-gu- muyonghakgwa daehaksaenggwa joleopsaengeul daesangeuro”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emale Dancers' Percep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Work and Family Parallelism, and Intention to Continue Dance]. 「한국콘텐츠학회논 문지 Han-guk kontencheu hakhoe nonmunji」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5): 855-867.
    27. 주도경 Joo, Dogyeong [Ju, Dogyeong]. 2022. “춤추는 몸의 재생산과 재적응: 한국 거주 중노년 조선족(중국동포)을 중심으로 Chumchuneun mom-ui jaesaengsan-gwa jaejeokeung: Han-guk geoju jungnon-yeon Joseonjok (Jungguk dongpo)-reul jungsim-euro” [Reproduction and Re-adaptation of Dancing Bodies: The Case of Middle and Old-aged Korean Chinese Residing in Korea]. 「비교문화연구 Bigyomunhwa yeon-gu」 [Cross-Cultural Studies] 28(2): 217-253.
    28. 최세윤 Choi, Seyoon [Choe, Seyun]. 2018. “중국 광장문화의 특징과 가치 고찰: ‘養生’을 실천하는 장 Jungguk gwangjang munhwa-ui teukjing-gwa gachi gochal: ‘yangsaeng’-eul silcheonhaneun jang” [The Research on the Value of China's Square Culture - As the Rules for Healthy Keeping]. 「중국문화연구 Jungguk munhwa yeon-gu」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Research] 39: 173-200.
    29. 하청 Ha, Cheong. 2024. “중국 광장무에 나타난 공동체 춤 특성 연구 Jungguk gwangjangmu-e natanan gongdongche chum teukseong yeon-gu”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Dance in Chinese Square Dance]. 「무용예술학연구 Muyong yesul hak yeon-gu」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95(2): 201-220.
    30. 홍선옥, 표내숙 Hong, Seonok, and Pyo Naesuk. 1996. “수영운동이 신체적 자기 효능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Suyeong undong-i sinchejeok jagi hyoneunggam baldal-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Change of Gender-Role Characteristics].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Han-guk seupocheu simnihak hoiji」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7(1): 127-152.
    31. Bandura, A [full name needed].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2. Chen, Yongting, Wang Suqi, Senanu Ametefe Divine, and John Dah. 2024. “Impact of Dancing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ance Research 42(2): 220-256.
    33. Corbin and Lindsey 1994. Concepts of Physical Fitness. Dubuque, IA: William. C. Brown Communications.
    34. Heyang, Tuomeiciren, Lei Ye, and Ma Xu. 2024. “Cultural Empowerment: The Space Production and Local Identity Effects of Square Dancing on Middle-Aged and Elderly Rehabilitation Patients-Based on a Qualitative Study of Three Square Dancing Communities in Chengdu, China.” Research in Dance Education: 1-18.
    35. Jackson, Morgan, Kang Manjot, James Furness, and Kevin Kemp-Smith. 2022. “Aquatic Exercise and Mental Health: A Scoping Review.”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66: 102820.
    36. Liu, Liu, and Zhang Hua. 2021. “Financial Literacy, Self-Efficacy, and Risky Credit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Evidence from Online Consumer Credit.” Journal of Behavioral and Experimental Finance 32: 1-9.
    37. Liu, Xi, Du Qinjin, Fan Hongying, and Wang Yan. 2024. “The Impact of Square Danc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ging Women”. Scientific Reports 14(1): 10405.
    38. Ryan, Richard, and Edward Deci. 202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rom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Definitions, Theory, Practices, and Future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61: 1-12.
    39. Ryckman, Richard, Michael A. Robbins, Billy Thornton and Peggy Cantrell. 198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hysical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5): 891.
    40. Veenhoven, Ruut.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41. Wang, Pukui, Shi Chenge, and Wang Zewen. 2023.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on the Psychological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Chain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Frontiers in Psychology 15: 1340623.

    저자소개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