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현대사회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의 발전으로 전통적인 무대 중심의 공연 환경이 변화하는 추세이다. 무용수들은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활동 영역을 확장하는 사례가 증가 하고 있으며,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공연, 실시간 스트리밍, 인터랙티브 공연 등의 새로운 공연 형태가 등장하면서 그 방식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무용수들 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생존 방식에 대한 도전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특히 높은 수준의 완벽한 수행력이 요구됨에 따라 지속적인 연습과 자기계발이 필수적이며, 이 에 따라 그릿(Grit)은 직업 무용수의 경력 지속과 성장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어 현 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확대 강조되는 추세이다. 지능지수(IQ)보다 더 나은 성공 지표로 주목받는 그릿은 열정과 끈기로서 직업인의 필수 소양이고, 직장인의 스트레스 상황에 대 한 신체적 대응력을 강화하는 기능도 행사하며 장기 목표를 향해 꾸준히 노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한다(윤은숙, 2024;Duckworth et al. 2007, 1087). Duckworth와 Quinn (2009)은 비인지능력인 그릿이 높을수록 학업성적, 조직 내 성과, 대인관계, 개인의 목표달 성 등 일과 일이 아닌 영역 모두에서 성공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하여, 직업적 성공에 있어 그릿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166). 특히 직업무용수의 수행결과는 예술기관 내의 정 기 및 시즌 공연에서 직업단체의 성공과 기관성과로 이어지는 사회적 특성상, 최고 수준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무용수의 꾸준한 연습과 노력, 즉 직업무용수로서 성공적으로 활동 하기 위한 그릿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최예림(2023)은 무용수의 그릿이 정확한 동 작과 표현전달을 하기 위한 훈련 및 연습의 핵심이라 보고하였으며(11), 성일경(2022)은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무용전념과 무용몰입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보고하여 그릿 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66). 이처럼 직업무용수의 그릿은 단 한 번 무대에서의 최고수행 을 위한 장시간의 노력, 끈기 및 열정이라 할 수 있다.
그릿은 Angela Duckworth의 사례와 실험의 결과로부터 성공은 재능이 아니라 지속적 인 노력과 열정이 중요하다는 이론으로 발전되었으며,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목표를 오랫 동안 집중하여 유지하는 지속적 관심(Duckworth et al. 2007, 1087)과 어려운 환경을 극 복하고 이겨내어 목표달성까지 끊임없이 노력하는 행동 특성인 꾸준한 노력(홍성철 2021, 71)으로 구성된다. 그릿의 중요성과 함께 성공과 그릿의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기업과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그릿과 성공,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최 지현 2023, 384), 그릿과 성공, 직무 만족 간의 영향 관계(서용한, 이연주 2021, 20), 여러 국가에서의 그릿과 직업적 성공 간의 관계(Danner, Lechner & Rammstedt 2020, 185), 그리고 그릿의 직업성공 역할에 관한 관련성 탐구(Clark, Plano Clark 2019, 91, 91)가 다루어 져 왔다. 꾸준한 노력은 직장 내에서의 업무 강도, 신체적 움직임, 에너지 소진 등과 밀접 하게 연관되며, 지속적 관심은 직업무용수들의 일에 대한 시각, 삶의 관점, 작품 안무, 예술 적 영감 등과 연결된다. 즉, 다른 직업군과 달리 무용수에게 그릿 연구는 그 의미가 크며, 직업무용수의 기량과 일에 대한 숙련도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릿과 관련하여 직업무용수의 개인의 직업적 성장과 미래 발전을 위해서는 경력개발 활동 또한 필수적이며, 이를 병행한다면 예술적 표현력 확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직업무용수들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경력개발 과정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방인식과 신재구(2022)도 개인이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도록 도 와주는 그릿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703). 즉, 그릿 은 경력개발 과정에서 유연성과 자기주도성을 제공하는 역할로서 직업무용수들에게 자신 의 경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필수적이다.
프로티언 경력태도란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다양하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자기주도 적으로 변화에 대응 및 적응시킬 수 있는 능력(소병한 2019, 34)으로 스스로 경력을 설계 하여 행동하고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자기주도성과 자신의 내면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가치지향성(Briscoe, Hall & Demuth 2006, 33)으로 구성된다. 최근 사회 변화에 따라 프 로티언 경력태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김유니와 진성미(2023)는 학습역 량의 조직 혁신성에 대한 영향력 분석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 조절효과의 중요성을 강조 한 바 있다(735). 천미람과 김태선(2022)은 여성 상담자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 역할과 직무만족도에의 영향력 행사를(516), 양 석원과 정찬구(2021)는 직무만족에 있어서 프로티언 경력방식이 중요 조절 변인임을 입증 한 바 있다(48). 김혜연, 오문환, 박지환(2023)도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직장인 경력성공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중요역할(200)임을 보고하여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직업무용수와 같은 예술단체 소속의 직업인들에게도 중요하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즉, 가치판단 기준에 주 체가 되어 자신의 경력개발을 시도하고 내면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필수적이다. 직업무용수는 단체의 비전을 기반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동시에, 개인적인 성 장과 미래 발전기회를 확보하기 위해서도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갖춰야 한다.
따라서 직업무용수는 자신의 경력개발을 인정받고 쌓아가는 과정에서 직장 내 목적달성 및 삶의 행복에 영향력을 행사하므로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련성이 높다. 주관적 경력성공은 연안나와 김은경(2023)의 연구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바 있으며(79), 이러한 주관적 경력성공의 영향력은 직업무용수들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주관적 경력성공이란 심리적 지각으로 성과만족, 목표달성, 역량, 개인 만족 등의 심리 적 측면이 경력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완성됨을 의미한다. 한여정(2018)은 주관적 경력성공 을 스스로 경력을 평가하며 느끼는 심리적 만족감이라 설명한 바 있다(20). 주관적 경력성 공은 자신의 직무 및 일적 경험들로 인해 인정받는 직무만족, 개인의 경력에서 성공 여부 를 결정짓는 경력만족, 노동시장의 일자리를 얻거나 직업전환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고용 가능성, 일상생활뿐 아니라 삶 전체에서의 행복과 삶의 질을 의미하는 삶의 만족 등 총 네 개 하위변인으로 구성된다(박진호 2019, 23). 주관적 경력성공은 직무성과(박종준 2024), 직무도전성(심지현, 채영원 2023) 등으로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시대의 흐 름과 연구자, 환경에 따라서 구성방식이 달라져 왔다. 심지현과 채영원(2023)은 직무도전 성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영향력 분석에서 경력만족, 고용가능성을 하위변인으로, 이 신주(2023)는 일과 삶의 균형, 배을규와 강선희(2020)는 삶의 만족 등으로 확대하여 주관 적 경력성공 관련성을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주관적 경력성공은 업무에 대한 인정과 소 속감을 높여주므로 경력을 통한 무용수행 결과는 더욱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미래 고 용가능성과 무용수의 삶의 만족도 또한 향상될 것이 기대된다. 주관적 경력성공은 주도적 경력을 관리하는 경력태도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는 보고(배을규, 강선희 2020, 61)도 그 중요성을 재차 확인해 준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그릿과 관련하여 긍정심리자본(박주영, 강민철 2023), 고용가능 성(노창현, 오상진 2023), 조직행동(고종식 2022) 등과,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관련된 조직 몰입(김유니, 진성미 2023), 직무만족(천미람, 김태선 2022;양석원, 정찬구 2021) 등이 진행되어왔다. 주관적 경력성공은 경력성과(김정균 2024), 직무성과(박종준 2024), 직무도 전성(심지현, 채영원 2023) 등으로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최근 그릿,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연구는 주로 기업과 구성원, 학 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직업무용수도 최고 수준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무용수의 꾸준한 연습과 노력, 즉 그릿의 중요성이 확인되고 있으나 직업무용수의 그릿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직업인으로서의 무용수, 즉 공공기관 소속 예술단체 직업무용수를 대상으로 경력태도나 주관적 경력성공을 다룬 연구도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예술 분야 는 일반직군과는 다르게 신체적인 능력과 정서적인 표현 모두 직무 수행에 막중한 영향을 미치므로 개인이 성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그릿, 경력태도 및 경력관리 등이 어느 직군보 다 필요할 것으로 기존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의 그릿과 프로티언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직업무용수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성공적인 경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요인을 밝혀내고, 실질적인 경력관리 전략을 제안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들의 경력성공을 담당하는 개인의 태도와 특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것이며, 독립적인 예술 활동을 수행하는 무용수들에게 적용 가능한 경력개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초석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직업무용수 소속 무용단체 발전의 기초지식과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로도 사용될 것이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는 첫째, 직업무용수의 그릿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 둘째, 직업무용수의 그릿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업무용수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가? 로 설정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4년 1월 현재 공공기관소속 직업무용수를 모집단으로 하여 한국무용, 발 레, 현대무용 전공의 무용수에게 설문하였다. 연구대상은 직업무용수를 모집단으로 목적표 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통하여 무용단 특성에 따라 국립, 시립, 도립, 민영기관으 로 나누어 12개 단체 직업무용수 총 350명을 설문 조사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중 불성실하 게 답하거나 끝까지 완성하지 못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33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 되었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이며, 설문 조사 시 연구의 목적과 연구 윤리 등에 대해 대상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이에 동의한 무용수만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직업무용수의 일반적 특성(General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dancers)
특성 | 구분 | 빈도(명) | 비율(%) |
---|---|---|---|
성별 | 남 | 93 | 28.2 |
여 | 237 | 71.8 | |
결혼 | 기혼 | 139 | 42.1 |
미혼 | 191 | 57.9 | |
연령 | 30세미만 | 108 | 32.7 |
30세이상-40세미만 | 139 | 42.1 | |
40세이상-50세미만 | 62 | 18.8 | |
50세이상 | 21 | 6.4 | |
전공 | 한국무용 | 246 | 74.5 |
발레 | 33 | 10.0 | |
현대무용 | 51 | 15.5 | |
무용 총 경력 | 10년이하(a) | 43 | 13.0 |
10년초과-15년이하(b) | 66 | 20.0 | |
15년초과-20년이하(c) | 90 | 27.3 | |
20년초과-25년이하(d) | 53 | 16.1 | |
25년초과(e) | 78 | 23.6 | |
직업 무용단 활동경력 | 5년이하(a) | 89 | 27.0 |
5년초과-10년이하(b) | 87 | 26.4 | |
10년초과-15년이하(c) | 79 | 23.9 | |
15년초과(d) | 75 | 22.7 | |
합계 | 330명 | 100% |
2.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본 연구에서는 직업무용수의 그릿과 프로티언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 를 규명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결혼, 연령, 전공, 무용 총 경력, 직업무용단 활동 경력의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설문은 ‘전혀 그렇지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Likert) 척도로 설문지 구성은 <표 2>와 같다.
표 2
설문지 구성내용(Questionnaire composition)
구분 | 문항 | |
---|---|---|
일반적 특성 | 성별, 결혼, 연령, 전공, 무용 총 경력, 직업무용단 활동경력 | 6 |
그릿 | 지속적 관심(4), 꾸준한 노력(4) | 8 |
프로티언 경력태도 | 자기주도성 (7), 가치지향성 (7) | 14 |
주관적 경력성공 | 경력만족 (5), 직무만족 (5), 고용가능성 (5), 삶의 만족 (5) | 20 |
합 계 | 48 |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릿,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의 설문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경우 주성분 분석방법을 이용하였고 요인회전은 직각회전 방법 중 Varimax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고유값이 .1이상인 요인과 적채치 .4이상인 문항만 추출하였다. 신뢰도의 측정방법은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 한 내적 일관성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신뢰도 분석에서는 이전의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이 확보된 문항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그릿 척도는 Duckworth와 Quinn(2009)이 개발하여 임효진(2017)이 번역하고 김지영, 김우철(2021), 이현경, 김정민(2020) 등의 연구에서 지속적 관심 4문항, 꾸준한 노력 4문 항으로 구성되어 타당화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표 3>과 같이 누적분산율 61.693%, 신뢰도는 꾸준한 노력 .740 지속적 관심 .741로 타당하고 신뢰할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표 3
그릿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결과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for grit)
설문문항 | 꾸준한 노력 | 지속적 관심 |
---|---|---|
그릿 7 | .873 | .045 |
그릿 8 | .807 | .138 |
그릿 6 | .672 | .077 |
그릿 5 | .631 | .223 |
그릿 2 | .100 | .834 |
그릿 1 | .094 | .796 |
그릿 3 | .183 | .772 |
고유치 | 2.315 | 2.003 |
분산율(%) | 33.078 | 28.615 |
누적분산율(%) | 33.078 | 61.693 |
Cronbach’s α | .740 | .741 |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척도는 Briscoe, Hall & Demuth(2006)가 개발하고 지혜순(2023), 소병한(2019) 등의 연구에서 자기주도성 7문항, 가치지향성 7문항으로 구성되어 타당화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 티언 경력태도는 총 2개의 하위요인으로 누적분산율 64.736%와 신뢰도는 가치지향성 .843, 자기주도성 .872로 나타나 타당하고 신뢰할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주관적 경력성공 척도는 김혜연, 오문환, 박지환(2023), 이숙영(2022) 등의 연구에서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 삶의 만족의 4가지 하위요인 각 5문항으로 구성되어 타당화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누적분산율은 68.996%, 신뢰도에서는 직무만족 .876, 경력만족 .837, 고용가능성 .833, 삶의 만족 .857 로 타당하고 신뢰할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표 4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결과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n protean career attitude)
설문문항 | 가치지향성 | 자기주도성 |
---|---|---|
프로티언 경력태도 9 | .771 | .099 |
프로티언 경력태도 10 | .766 | .299 |
프로티언 경력태도 11 | .739 | .321 |
프로티언 경력태도 8 | .717 | .219 |
프로티언 경력태도 12 | .711 | .293 |
프로티언 경력태도 1 | .193 | .852 |
프로티언 경력태도 2 | .179 | .849 |
프로티언 경력태도 3 | .256 | .831 |
프로티언 경력태도 5 | .352 | .642 |
프로티언 경력태도 4 | .485 | .590 |
고유치 | 3.240 | 3.233 |
분산율(%) | 32.402 | 32.334 |
누적분산율(%) | 32.402 | 64.736 |
Cronbach’s α | .843 | .872 |
표 5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결과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설문문항 | 직무만족 | 경력만족 | 고용가능성 | 삶의 만족 |
---|---|---|---|---|
주관적 경력성공 8 | .856 | .160 | .127 | .172 |
주관적 경력성공 7 | .843 | .119 | .094 | .181 |
주관적 경력성공 9 | .752 | .347 | .042 | .209 |
주관적 경력성공 6 | .706 | .271 | .209 | .213 |
주관적 경력성공 10 | .615 | .331 | .257 | .121 |
주관적 경력성공 3 | .059 | .793 | .145 | .121 |
주관적 경력성공 4 | .338 | .738 | .130 | .245 |
주관적 경력성공 2 | .262 | .724 | .226 | .132 |
주관적 경력성공 5 | .351 | .721 | .116 | .292 |
주관적 경력성공 1 | .249 | .673 | .194 | .235 |
주관적 경력성공 14 | .056 | .234 | .846 | .078 |
주관적 경력성공 13 | .008 | .241 | .833 | .128 |
주관적 경력성공 15 | .265 | -.074 | .700 | .329 |
주관적 경력성공 12 | .319 | .228 | .640 | .189 |
주관적 경력성공 11 | .431 | .202 | .457 | .243 |
주관적 경력성공 18 | .146 | .229 | .083 | .840 |
주관적 경력성공 17 | .146 | .203 | .226 | .797 |
주관적 경력성공 19 | .306 | .160 | .235 | .725 |
주관적 경력성공 16 | .287 | .326 | .235 | .610 |
고유치 | 3.837 | 3.448 | 2.962 | 2.862 |
분산율(%) | 20.193 | 18.150 | 15.589 | 15.064 |
누적분산율(%) | 20.193 | 38.343 | 53.932 | 68.996 |
Cronbach’s α | .876 | .837 | .833 | .857 |
3. 자료처리
본 연구에서는 유효 표본에 대해 코딩 및 부호화 작업을 거친 후, Windows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이 분석을 수행하며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 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직업무용수의 그릿,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 성공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 중공선성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후 각 변인 간의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분석은 유의수준 .05를 기준으 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직업무용수의 그릿,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에서 변인 간 회귀분석에 앞서 직업무용수의 그릿,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표 6>과 같다. 상관관계수는 .617이하를 보여 변 인들 간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6
직업무용수의 그릿,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상관관계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grit of professional dancers,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꾸준한 노력 | 지속 관심 | 가치 지향성 | 자기 주도성 | 직무 만족 | 경력 만족 | 고용 가능성 | 삶의 만족 | |
---|---|---|---|---|---|---|---|---|
꾸준한 노력 | 1 | |||||||
지속적 관심 | .309** | 1 | ||||||
가치 지향성 | .491** | .249** | 1 | |||||
자기 주도성 | .490** | .234** | .616** | 1 | ||||
직무만족 | .402** | .179** | .387** | .342** | 1 | |||
경력만족 | .182** | .080 | .192** | .125* | .617** | 1 | ||
고용가능성 | .261** | -.003 | .206** | .353** | .498** | .539** | 1 | |
삶의 만족 | .325** | .127* | .350** | .301** | .558** | .581** | .523** | 1 |
*p<.05, **p<.01
2.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프로티언 경력태도 중 가치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에 의하면 그릿 중 꾸준한 노력(β=.458, p<.001), 지속적 관심(β=.107, p<.05)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인 가치지향성에, 그릿 중 꾸준한 노력(β =.462, p<.001)이 자기주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7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it of professional dancers on protean career attitudes)
독립변인 | 가치지향성 | 자기주도성 | ||||
---|---|---|---|---|---|---|
B | β | t | B | β | t | |
(상수) | 1.687 | 7.784*** | 1.583 | 7.386*** | ||
꾸준한 노력 | .483 | .458 | 9.106*** | .481 | .462 | 9.157*** |
지속적 관심 | .096 | .107 | 2.131* | .081 | .091 | 1.811 |
R2 | .252 | .248 | ||||
F | 54.978*** | 53.840*** |
*p<.05, ***p<.001
3.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표 8> 과 같다. <표 8>에 의하면 그릿 중 꾸준한 노력(β=.383, p<.001)이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 위요인인 직무만족에, 꾸준한 노력(β=.174, p<.001)이 경력만족에, 꾸준한 노력(β=.290, p<.001)이 고용가능성에, 꾸준한 노력(β=.316, p<.001)이 삶의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it of professional dancer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독립 변인 | 직무만족 | 경력만족 | 고용가능성 | 삶의 만족 | ||||||||
---|---|---|---|---|---|---|---|---|---|---|---|---|
B | β | t | B | β | t | B | β | t | B | β | t | |
(상수) | 1.677 | 6.576*** | 2.231 | 7.510*** | 2.048 | 7.222*** | 1.782 | 6.586*** | ||||
꾸준한 노력 | .450 | .383 | 7.208*** | .222 | .174 | 3.052** | .360 | .290 | 5.181*** | .381 | .316 | 5.744*** |
지속적 관심 | .060 | .060 | 1.136 | .028 | .026 | .452 | -.098 | -.093 | -1.655 | .030 | .030 | .541 |
R2 | .165 | .034 | .076 | .106 | ||||||||
F | 32.232*** | 5.732** | 13.424*** | 19.465*** |
*p<.05, ***p<.001
4. 직업무용수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직업무용수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 중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 한 회귀분석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에 의하면 프로티언 경력태도 중 가치지향성(β =.283, p<.001)과 자기주도성(β=.167, p<.01) 모두가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직무 만족에, 가치지향성(β=.185, p<.01)이 경력만족에, 자기주도성(β=.364, p<.001)이 고용가 능성에, 가치지향성(β=.265, p<.001)과 자기주도성(β=.137, p<.05) 모두가 삶의 만족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9
직업무용수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s of professional dancer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독립 변인 | 직무만족 | 경력만족 | 고용가능성 | 삶의 만족 | ||||||||
---|---|---|---|---|---|---|---|---|---|---|---|---|
B | β | t | B | β | t | B | β | t | B | β | t | |
(상수) | 1.685 | 6.991*** | 2.265 | 8.066*** | 1.557 | 5.959*** | 1.582 | 6.272*** | ||||
가치 지향성 | .315 | .283 | 4.418*** | .223 | .185 | 2.688** | -.021 | -.018 | -.272 | .303 | .265 | 4.059*** |
자기 주도성 | .189 | .167 | 2.613** | .013 | .010 | .150 | .434 | .364 | 5.537*** | .159 | .137 | 2.099* |
R2 | .167 | .037 | .125 | .134 | ||||||||
F | 32.728*** | 6.245** | 23.284*** | 25.309*** |
*p<.05, **p<.01, ***p<.001
Ⅳ. 논의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의 그릿, 프로티언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련성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의미 있는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 논의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의 하위요인 중 꾸준한 노력과 지속적 관심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 인 가치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근로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이지영 (2024)과 최지현(2023), 방인식과 신제구(2022)는 그릿의 하위요인인 꾸준한 노력과 지속 적 관심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행사한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직업무용수의 경우, 창의적 사고와 안무를 통해 자 신의 내적 동기와 가치를 표현하는 직업군이다. 공연 중심의 무용수는 관객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여 몰입하고 몸에 익힌 기술들을 자신만의 이야기로 전 달하기 위해 꾸준한 노력과 지속적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를 통해 무용수는 춤과 공연으 로 자아를 탐구하며 한 단계 성장하게 된다. 더 나아가 무용수의 예술적 목표와 가치를 실현시켜 줄 것이며, 무용수의 꾸준한 노력과 지속적 관심을 통한 작품에서의 성과와 경험 은 무용수의 가치지향성을 높이게 되므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을 것이라 생각된다. 꾸준 한 노력과 지속적 관심인 그릿의 강화는 직업무용수의 가치지향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무용수행의 성과와 성공경험을 수반하게 되며, 이 기회는 직업무용수의 자신감을 높이고 소속감을 강화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릿의 꾸준한 노력이 자기주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지연 (2023)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그릿이 자기주도성과 가치지향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 고, 이연주(2020)는 사무직 여성들의 그릿과 주도적 경력 지향성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직업무용수의 경우 공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단원들과의 연습 과정이 필수적이다. 근무시간 중에는 단원들이 서로 화합하며 안무의 순서 및 호흡을 맞추어 군무를 완성해 나가고 그 이후의 시간은 개인의 노력과 자기관리를 위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즉, 근무시간에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안 무순서와 기술을 몸에 익히는 노력에 집중하고 자신의 경력을 포함한 역량들을 융합하여 연습에 집중하게 된다. 주도적인 개인의 연습 시간은 더 나은 공연과 개인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기술 및 경험들을 쌓는데 기여하며 무용수가 연습한 기술들이 무대에서 빛을 발하 는 순간으로 도달하게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꾸준한 노력이 자기주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하위요인 중 꾸 준한 노력이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박수옥(2021)은 치과위생사의 꾸준한 노력이 지속될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직업무용수에게 있어 꾸준한 노력이란 장기적이 고 끊임없는 연습으로, 직업무용수의 지속적 연습을 통해 쌓아온 경험과 경력 그리고 노력 의 과정은 무용단 단원으로서의 직무만족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업무용수들은 목 표달성을 위해 장기적인 연습과 개인의 기량을 위한 기술 향상에 끊임없이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며 점검한다. 공연을 위한 주말과 근무시간 이외의 연습시간 할애의 과정과 노력이 무대에서의 성공으로 이어질 때, 관객의 호응은 높아져 직업무용수들의 성취감과 직무에 대한 만족감이 동시에 향상된다. 이는 직업무용수들을 더욱 노력하게 만들고, 개개인의 직 무에 대한 만족감은 기관의 성과를 높이는 결과로 연결될 것이다.
그릿의 꾸준한 노력이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금봉, 김지 영, 조현정, 김우철(2024)은 청소년 지도사의 그릿이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정은주와 최애경(2019)도 비서직은 끈기, 즉 꾸준 한 노력이 경력만족에의 영향력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하여 임금과 같은 객관적 경력성공 이 업무성과를 높일 수 있으나 심리적 만족까지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릿이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직업무용수들은 그릿의 꾸준 한 노력으로 쌓은 경력 경험이 심리적 즐거움과 만족감을 높여 경력만족에 대한 인식을 향상하는 과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릿의 꾸준한 노력이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혜주 (2019)의 연구에서도 꾸준한 노력이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여 그릿의 심리 적 요인이 고용가능성과 같은 행동적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내 본 연구결과를 지지한 다. 또한, 노창현, 오상진(2023)은 국내 대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릿이 고용가능성 인식 에 조절효과를 나타내 본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뒷받침해 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그 릿이 직무 능력과 경험 등 다양한 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 는 중요한 변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예술 직업군은 일반 직업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숫자가 적기 때문에 무용수로서 예술단체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단체에 입단한 직업무용수는 자신의 실력향상을 지속시키고 예술단체의 고용 을 유지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이 이러한 현상을 반영한다. 그러나 고용형태가 비교적 자유 로운 발레와 현대무용 전공 무용수의 경우, 단체의 소속감보다는 개인적인 작업을 중시하 며, 하나의 직업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무용수, 연출가, 안무가 등 복수의 직업을 수행하는 N잡러로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개인 프로필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의 꾸준한 노력은 고용가능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릿의 꾸준한 노력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근 로자를 대상으로 최지현(2023)은 성취를 위한 그릿의 지속적 노력은 자기주도성을 강화하 시키고 경력 가치에 부합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을 이루고 삶의 만족을 높인다고 보고하였 고, 김선희(2021)는 어린이집 근무교사 중 그릿이 높은 사람이 삶의 만족도 높아진다고 보고하였으며 차정주(2018)도 예비유아교사의 꾸준한 노력만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쳤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준다. 권대훈(2018)은 고등학교 교사들의 그 릿과 삶의 만족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Salles, Cohen & Mueller(2014)가 의학 레 지던트의 그릿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준다. 이처 럼 무용수들의 지속적인 연습을 의미하는 꾸준한 노력은 직장과 개인 삶의 영역 속에 심리 적 만족을 높인다. 직업무용수들이 꾸준한 노력을 통해 자아실현을 이루고 성취감을 이루 는 과정 안에서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그릿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직업무용수의 목 표설정과 체계적인 계획 수립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직업무용수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 중 가치지향성과 자기주도성이 주관 적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원과 이창식(2023)은 평생교육 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천 미람, 김태선(2022)은 여성 상담자들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을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장경진(2020)은 중소기업 교육 서비스 업 종사자들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중 자기주도성 만이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교육 서비스업 종사자들은 직 무만족에 있어서 자격증이나 교육을 이수하고 관리하는 것보다 자기 주도적으로 인맥을 관리하는 것이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인지하는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직업 무용단은 독창적이고 새로운 무대를 만들어 관객에게 감동을 전하는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영향을 받아 새로운 것을 갈망하며 자신의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한 경력개발 태도에 힘쓰게 되고 목표실현으로 이어질 때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직업무용수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가치지향성이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봉선(2016)은 외식업 종사자들의 가치지향성이 높을수록 경력만족 또한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박진호(2019)도 조리 전공자들의 자기주도성과 가치지향성이 높을수록 경력만족이 높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부분적 으로 지지하고 있다. 직업무용수는 외적인 기준인 임금, 승진, 지위보다는 내면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개인의 지식과 능력에 대한 태도 및 심리적 기대와 같은 가치 창출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즉, 무 용수가 개인적으로 이루어낸 성취와 무대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그들의 내면적 가치와 가치지향성에 기반하여 경력만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업무용수의 자기주도성이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용(2024)의 초기 경력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중 자기주도성이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친다는 보고가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지혜순(2023)도 고용 위기 지역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리나(2022)는 IT연구개발 직군들의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 중 가치지향성과 자기주도성 두 하위요인이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는 연구대상 의 직군 및 연령, 그리고 환경의 차이로부터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직업무용수를 비롯 한 예술인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새로운 기회 즉, 비중있는 역할을 맡아야만 하는 환경 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연 상황 등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환경 속 무용수들에게 있어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경력을 쌓기 위한 노력의 자기주도성은 조직 내 공연이라는 임무 를 수행 및 유지해야 하는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다양한 환경 속 독창적인 작품을 생각하고 창출해가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자기주도성의 역할도 고용가능성을 높이는 결과로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직업무용수의 가치지향성과 자기주도성이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문은영(2023)과 이봉선(2016)은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높은 개인은 주관적 경력성 공과 삶의 만족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주고 있다. 직업무용수의 경우, 자신의 예술적인 비전과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부합될 때, 무용수의 만족감과 성취감이 일치되어 심리적 성공으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무용수가 스스로 경 력을 주체적으로 관리하고 예술적 성장을 이루고자 하는 과정에서의 가치지향성과, 경력 개발을 추진하며 자기주도적으로 경력을 유지하는 것이 무용수 삶의 만족에 중요한 영향 을 미쳐 본 연구결과가 도출된 것이라 생각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삶의 만족은 무용수의 개인 경력을 인정받는 동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즉, 무용수는 자신의 경력에 서 목표가 부합했을 때 상사나 동료들의 인정, 관객들의 호응에 따라 삶의 만족이 높아질 것이다. 이처럼 무용단체 내에서 개인의 경력을 인정받을 때 무용수들은 자신감과 동기부 여가 높아져 삶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고로 변화하는 문화예술 상황을 고려한 직업무용수의 경력관리 및 경력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그릿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략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의 그릿과 프로티언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를 규 명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공공기관소속인 직업무용수를 모집단으로 목적표집방법을 통해 각 전공의 무용수 총 350명 중 33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으며 타당도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릿의 꾸준한 노력, 지속적 관심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가치지향성에, 꾸준한 노력이 자기주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단체에서는 단원들에게 협력적 환경을 조성하고, 개인의 노력을 격려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조직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그릿 향상뿐만 아니 라 바람직한 경력태도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그릿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의 꾸준한 노력이 주관적 경력성공의 직무만족,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연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 무용수들의 성과를 인정하여 포상휴가, 금전적보상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재충전 시간과 보상은 무용수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공연에 대한 집중력, 열정을 높이는데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다. 직업무용수들의 경력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릿의 꾸준한 노력뿐만 아니라 지속적 관심 또한 중요하다. 무용수들은 지속적 관심을 통해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과정은 경력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무용수들의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경력만족 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공연 관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트렌드 모니터링 등 새로운 움직임의 학습 및 활용 능력을 키우는 노력은 직업무용수의 주관적 경력성공에도 기여할 것이다. 직업 무용수들은 명확한 목표 설정과 함께 장기적 경력계획을 수립하고, 연습 일정의 균형 및 신체, 정신적 회복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등의 체계적인 계획을 실천할 필요성이 제기된 다. 이러한 과정은 무용수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직업무용수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가치지향성과 자기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의 직무 만족과 삶의 만족에, 가치지향성이 경력만족에, 자기주도성이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무용수는 새로운 예술적 표현을 창조하고 관객에게 감동을 주는 것을 중요한 목표 로 삼는다. 이러한 목적의식은 무용수의 경력개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 으로 직무만족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무용단체에서는 직무만족을 높 이고 무용수의 경력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자격증 이수, 대회 참가, 프로젝트 참여, 지원사 업 확대 등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회들은 무용수 개개인의 부족한 부분을 경력적으로 보완하고, 자기계발을 통해 자신감을 증진시키며 공연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경력 상담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개별 무용수의 목 표와 경력 경로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책을 제공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이는 무용수 들이 자신의 경력을 주체적으로 계획하고 발전시키게 하며, 경력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노력이 지속될 경우 무용단체의 활성화와 발전된 예술 생태계 구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를 참고로 추후 연구에서는 한국 직업무용단 고용형태 차이에 따른 영향력 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한국무용은 정규직 계약비율이 높고, 현대무용과 발레는 단기 고용형태가 높아, 고용 안정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대상에서도 한국무용 전 공 무용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무용단의 고용형태를 고려하여 각 전공별 무용수들의 심리적 특징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보다 심 도 있게 다루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